당신이 지금 알고 있는 상식이 해당 분야의 최고의 진리일 수 있다
2015.09.03 19:58
나는 그동안 LEAN강의시 매번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내용이 있는데 그것은 회사가 살아 갈 수 있는 기초원리로 회사금고에 "들어오는 돈" 이 "나가는 돈" 보다
많아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알고 있고 아주 쉬운 내용이다.
다시 좀 자세히 이야기를 해보면 화폐의 미래가치나 회계원칙을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현재 시점에 금고에서 나가는 돈 보다 들어오는 돈이 많으면 된다는 것이다.
너무 단순해서 경영도 모르는 사람의 말이라고 무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MBA경영학 교수의 강의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다.
"투자에 대한 경영의사 결정을 할 때 자본 투자를 하면 돈이 금고에서 한번에 나가게 되고 들어오는 돈은 회계에 따라 매년 말에 한번씩 들어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를 회수기간법, IRR 등의 계산식을 활용하게 되면 이는 맞지 않게된다. 내가 생각하는 최적의 방법은 NPV(순현가법)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물론 위는 투자시 투자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할 때에 필요한 내용인데, 일반 경영에도 포함하여 적용하면 되지 않는가? 경영학의 최고의 진리일수도 있다.
제목처럼 "최고의 진리"라고까지 말 할 정도는 아니지만 우리가 보통으로 알고 있는 상식이 내가 모르는 어떤 전문분야의 최고의 진리힐 수 있다는 것이
재미있지 않는가?
또 한가지 예를 들어보면 아담스미스의 국부론에 보면 분업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다. 그런데 말입니다.
분업이라는 것이 왜 국가를 부자 나라로 만들수 있을 까요? 이때 당시가 19 ~ 20세기로 넘어오는 시기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때 부가 편중되어 있어
일반 서민들은 너무 가난하게 살고 있을 때 였다. 그런데 분업을 하게 되면 생산성이 올라가게되고 물건을 많이 만들어내면 가격이 내려가게 되어
사람들이 더 많이 살 수 있게 되고 그 돈은 공장 근로자에게 돌아와 임금이 올라가게 되어 삶의 질이 올라갈 수 있다는 원리이다.
분업을 처음 언급했던 아담스미스가 이렇게까지 깊은 뜻으로 이야기 했을 줄은 미처 몰랐는데, 이때 추가적으로 분업이 가속화되면 인간성이
말살 된다는 이야기도 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몇가지 언급도 한것으로 알고 있다. 내가 베트남 공장에서 제조라인 작업자들이
너무 세분화되어 1 ~ 3초 단위의 작업을 사람이 하는 것을 보고 인간성 말살의 현장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이미 아담스미스가 이것의 폐혜를
이야기 했다니 놀랍지 않는가? 내가 아담스미스와 같은 생각을 했다는 사실과 분업이라는 것의 의미가 새롭게 다가오는 계기가 된 것 같아 놀랍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6 | 스마트 팩토리 관련 자료 요청은 이메일로 해주세요 | indy | 2019.01.15 | 19 |
35 | 오늘 대통령 시정 연설에서 스마트팩토리 관련 내용을 보면 | indy | 2019.01.10 | 28 |
34 | 최근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indy | 2019.01.09 | 22 |
33 | 배신은 결국 나의 책임이다 | indy | 2017.12.30 | 232 |
32 | 컨설팅 내용이 너무 진부합니다 | indy | 2017.09.05 | 1458 |
31 | 이상한 댓글이 자꾸 달리네요 | indy | 2017.08.29 | 1269 |
30 | 누구를 먼저 쏘아야 하나 | indy | 2017.07.14 | 5874 |
29 | 책을 쓰는 사람은 여유가 있다는 반증이다 | indy | 2017.06.24 | 8010 |
28 | 손해보고 사는 것이 정말 손해보는 것일까 | indy | 2016.06.13 | 7243 |
27 | JOB을 VALUE로 생각을 바꾼다면 세상이 바뀌어 보일것이다 | indy | 2016.06.11 | 7430 |
26 | 군주의 마음으로 혁신하자 | indy | 2016.06.10 | 5937 |
25 | “내 잘났다”와 “너 참 잘한다”의 차이 | indy | 2016.02.16 | 8164 |
24 | 남의 눈 속의 티를 보지 말고 자신 눈의 대들보를 보라 | indy | 2016.02.14 | 5418 |
23 | 기념일이라는 것은 사람을 새롭게 합니다. | indy | 2016.02.07 | 5534 |
22 | NEW NORMAL, SUPER NORMAL이 새로운 흐름이다 | indy | 2016.02.07 | 5621 |
21 | 복습이 중요한데 말입니다 | indy | 2015.11.01 | 5492 |
20 | 오래간만에 칼럼을 써 봅니다 | indy | 2015.10.30 | 5111 |
19 | 대기업이 Smart factory를 망치고 있어.. | indy | 2015.09.04 | 4816 |
» | 당신이 지금 알고 있는 상식이 해당 분야의 최고의 진리일 수 있다 | indy | 2015.09.03 | 4751 |
17 | 왜 모두 같아야 하나요, 차별화 하면 안되나요.. | indy | 2015.08.31 | 4346 |